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통계 이야기를 시작하며

1979년, 대학 전공으로 선택한 통계학은 학사부터 박사 학위에 이르기까지 나를 성장시킨 학문이었다.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에는 30년 동안 대학교에서 강의를 이어오며 내 삶의 중심이 되었다.


1999년에는 대학 강의 노트를 웹페이지에 공유하기 시작했다. 이는 한남대 학생들뿐만 아니라 통계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과 지식을 나누는 첫걸음이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강의와 연구에 사용된 통계 계산 소프트웨어도 SAS에서 R을 거쳐 현재의 Python으로 진화해왔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의 통계 여정 역시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했다.


강의실을 넘어 다양한 연구와 자문을 통해 쌓아온 통계 적용의 노하우는 Python을 활용한 실습 중심 강의 노트에 녹아들었다. 이는 데이터 분석 능력을 실질적으로 강화시키고, 실제 데이터로부터 통찰을 이끌어내는 통계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이제는 이러한 경험과 자료를 기반으로 개인 블로그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과 통계 이야기를 나누고자 한다. 이 블로그는 통계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시각을 제공하고, 통계가 우리 삶에서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 함께 탐구하는 공간이 될 것이다.


사실 이 블로그는 3년 전에 개설되었으나, 매번 시작만 하고 작심삼일로 멈춰 텅 빈 채로 방치되어 있었다. 하지만 대학교를 떠날 날이 1년 앞으로 다가온 지금, 이 블로그는 새로운 도전의 무대로 다시 자리 잡게 되었다. 이제는 멈춰 있던 블로그에 활기를 불어넣고, 또 다른 30년의 통계 이야기를 써 내려가려 한다.


이 블로그는 단순한 기록의 공간을 넘어 통계학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를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소통하는 장이 될 것이다. 모든 이가 통계를 통해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기를 바라며, 나는 새로운 여정을 시작한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는 아트이다.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숫자들이 가득하다. 뉴스 기사 속 경제 지표, 마케팅 자료에 담긴 소비자 데이터, 그리고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까지, 숫자는 곳곳에서 우리와 함께하고 있다. 이런 숫자들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찾아내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며, 의사 결정을 하는 것은 이제 현대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능력이 되었다. 그러나 통계는 단순히 숫자를 나열하는 기술에 그치지 않는다.  통계는 데이터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내는 예술이다.  마치 화가가 캔버스 위에 다양한 색깔을 조합하여 그림을 그려내듯, 통계학자는 숫자라는 재료를 가지고 세상을 그려낸다. 그리고 그 속에 숨겨진 패턴과 의미를 발견하며,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1.데이터에서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 문제를 해결하다 예술이 세상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듯, 통계는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숨겨진 이야기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인 여정을 펼친다. 단순한 숫자의 집합처럼 보이는 데이터도 통계학자의 손길을 거치면 생각지도 못한 패턴과 통찰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기온 데이터는 단순한 날씨 정보에 그치지 않고, 기후 변화의 경향성을 밝혀내며, 도시 계획이나 환경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데이터는 단순한 관찰을 넘어, 이해와 예측, 더 나아가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도구가 된다. 이 과정에서 통계학자는 단순히 공식을 적용하는 기술자가 아니라, 문제를 정의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며, 해석을 통해 실행 가능한 결론을 도출하는 창의적 사고의 주체가 된다. 마치 예술가가 다양한 도구와 재료를 활용해 독창적인 작품을 창조하듯, 통계학자는 데이터의 특성과 문제 상황에 맞춘 독창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새로운 통찰을 얻는다. 결과적으로 통계는 데이터를 이야기로 엮어내고, 그 이야기를 통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이고도 강력한 도구임을 증명한다. 2.시각화: 숫자에 생명을 불어넣다 숫자를 예술로 승화시키는 가장 중요...